본문 바로가기
컴퓨터

Ventoy로 응급복구 WindowsPE 사용하기

by 촐초리 2022. 3. 13.
반응형

ventoy라는 좋은 툴이 있다 

만능 부팅 USB를 만들어서 복구용으로 가지고 다니기 좋은 도구이다 

물론 좋은 WindowsPE가 있어야 한다

 

오늘은 Ventoy사용법만 간단히 설명하면

https://www.ventoy.net/en/index.html

 

Ventoy

Ventoy is an open source tool to create bootable USB drive for ISO files. With ventoy, you don't need to format the disk again and again, you just need to copy the iso file to the USB drive and boot it.

www.ventoy.net

에서 최신 Ventoy를 다운받아서 적당한 USB를 준비한다

물론 USB는 자료는 모두 사라지므로 반드시 초기화해도 상관없는 USB를 사용해야 한다

다운받은 파일을 풀어서 Ventoy2Disk를  실행하면

아래 그림처럼 나온다

개인적으로 요즘 신형 PC들은 대부분 UEFI/GPT를 사용하고 Seucure Boot도 대부분 사용하므로

설정을 이렇게 해서 설치를 한다

설치를 해도 USB에는 아무런 파일이 없다 

따로 부팅용 파티션이 있으므로 걱정할 필요 없다

보이는 Ventoy USB에 원하는 ISO, Wim 파일을 복사하면 자동으로 인식이 된다

다만 Ventoy 라는 폴더를 만들어서 plugin 파일이다 ventoy.json같은 설정파일을 복사해 주면 된다

ventoy.json

을 잘 사용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아무래도 호환성 면에서는 텍스트 모드가 가장 낫기 때문에 그냥 아래 그림같은 

심플한 텍스트모드를 사용한다

이제 USB에 iso , wim복사가 끝났으면 부팅만이 남았다

USB를 PC에 꽂고 부팅을 한다 당연히 F12(벤더사 마다 약간씩 다름)을 통해 부트매니저를 띄어 USB로 부팅하는 것을 선택한다

 

Secure부팅이 설정되어 있으면 처음에는 이렇게 에러가 난다

아무키나 눌러서 다음으로 넘긴 다음

Enroll key from disk를 선택하여

Secure Boot 키를 import 시켜야 한다

VTOYEFI를 선택하여 Ventoy의 키를 이용한다

디스크의 ~~~.cer 를 선택한다 

이렇게 선택하고 나면 키가 import되고 다음 부팅부터 USB를 이용하여 Seucre boot상태에서도 부팅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다시 USB로 부팅을 해보면 

그림처럼 텍스트 모드의 부팅화면이 나온다

이제 원하는 ISO, WIM 파일로 부팅이 가능하다

이제는 좋은 ISO, 파일 혹은 WindowsPE 파일 wim 파일을 구해서 응급복구용으로 사용하면 된다

혹시 호환성에 문제가 생긴다면 ventoy.dat 파일을 만들어 USB 최상위 폴더에 복사해 주면 호환성 모드로 사용이 가능하다

반응형

'컴퓨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openssl Windows Binary  (0) 2022.03.20
EasyDrv v7.22.0108.1(2022.3.2)  (0) 2022.03.16
Window 11 권장사항 회피 설치(Rufus)  (0) 2022.03.08
EasyDrv v7.21.1109.3 (2021.12.22)  (0) 2021.12.22
크롬 96 Windows 11 Style menus  (0) 2021.12.19